물총새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는 어린시절 물총새에 대한 동화책을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물총새는 흔히 볼 수 있는 새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그렇게 쉽게 만나지는 못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총새에 대한 틍징과 특이한 물총새 부리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물총새란 어떤 새 일까?
물총새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물 근처에서 서식하는 파랑새목의 물총새과 새 입니다. 물총새의 크기는 아주 크더라도 20 cm 이내의 몸길이를 가지고 있는 작은 종류의 새 입니다. 물총새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는 새이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여름에 물가에서 발견됩니다. 또한 한적하고 인적이 드문 물가 근처에 주로 서식하는 새이므로, 강이나 연못, 개울가 등에서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삽니다.
물총새는 소형 새 중에 하나로서 푸른빛을 띄는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몸집이 워낙 작아 머리가 조금 더 커보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물총새의 부리는 뾰족하고 길며 꼬리는 짧은편 입니다. 날개와 겉 깃털 색은 청록색이나 파란색을 띄고 있으며 가슴 안쪽과 배의 깃털 색은 황갈색을 띄고 있습니다.
2. 물총새의 먹이 및 사냥특징 (부리 원리)
물총새는 물가 근처에 서식하며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습니다. 물총새가 새끼를 돌볼 때에는 대략 50 마리 가량의 물고기를 사냥해서 새끼에게 먹이로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이들은 물고기 뿐만아니라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나, 벌레, 지네 등과 같은 파충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을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먹이로 섭취합니다.
일반적으로 물총새가 물고기 등의 먹이를 사냥할 때, 물 위 어딘가에서 물가를 유심히 지켜봅니다. 먹잇감이 발견되면 수면 위로 약 1.5 m 이상 날아오른 후 빠르게 물속으로 들어간 후 물고기를 낚아챕니다. 물총새는 몸통에 비해 뾰족하고 긴 부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순간적으로 사냥을 위해 물속으로 들어갈 때 물이 많이 튀지 않도록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물고기는 순식간에 물총새에게 잡히게 됩니다.
3. 물총새 번식 형태 및 상황
물총새는 일부일처제의 짝짓기 규율을 가지고 있는데, 수컷이 암컷에게 물고기를 잡아주는 등의 구애를 통해 짝짓기를 성사합니다. 물총새는 부부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공동육아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부부가 서로 도우며 새끼를 봐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총새는 물가근처에 있는 나무에 둥지를 틀어 그곳에 알을 낳고 서식합니다. 다만 일부 종의 경우에는 땅을 파서 둥지를 트는 종도 있습니다. 물총새가 짝짓기를 한 후 둥지에 알을 낳는데 일반적으로 흰색의 알을 낳으며 암컷 물총새의 크기에 따라 한번에 3 ~ 6 개의 알을 낳습니다. 알을 낳은 후 부화할 때 까지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알을 품으며, 이들이 부화한 후에는 약 3개월 가량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먹이를 받아먹습니다. 그 이후에 각자 새끼들이 날개짓하는 연습을 하며 독립을 하게 됩니다.
4. 물총새의 분포 및 서식지
물총새는 전세계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는 새입니다. 하지만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기 때문에, 아프리카나 오세아니아의 열대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이 되며, 유럽이나 우리나라 등에서도 발견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물총새의 경우에는 대부분 여름에 발견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따뜻해질 봄~여름에 물총새가 찾아온 후 번식을 하고 가을이 되면 따뜻한 곳으로 이동을 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실제로 많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보호 야생 동물 중 하나로 분류되어집니다.
어린시절 동화책을 통해 접했던 물총새는 물고기를 빠르게 잡아 낚아채는 새 라고만 생각했는데요. 알고보니 크기도 작은 편에 속하고 실제로 외관이 꽤 귀엽게 생긴 모습에 호감이 상승합니다. 또한 암컷과 수컷이 공동육아를 한다는 점에서 아주 합리적이고 멋진 새 같다고 느껴집니다.
출처: Wikipedia
'날개달린 동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새끼 이름과 꿩에 대한 몰랐던 사실들 (0) | 2022.09.23 |
---|---|
알고보면 서러운 비둘기의 삶 이야기 (0) | 2022.09.22 |
참새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0) | 2022.09.22 |
올빼미 먹이 및 올빼미에 관한 몰랐던 사실들 (0) | 2022.09.22 |
홍학의 털이 붉은 이유 및 몰랐던 사실들 (0) | 2022.09.21 |